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스토리

건강검진 가이드

by SCV #9 2025. 2. 6.

 

1. 건강검진 원칙

1-1. 비수기에 검진을 받자

  • 연말(특히 12월)은 성수기로 예약이 어렵고, 원하는 검사를 못 받을 가능성이 높음.
  • 1~2월은 한산하여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맞추기 쉬우며, 대형 검진센터에서는 프로모션도 진행함.

1-2. 검진은 검사이지 진료가 아니다

  • 검진센터에서는 질환을 진료하지 않으며, 검사는 참고자료일 뿐임.
  • 예를 들어, 두통이 있는 경우 뇌 CT를 찍어도 영상의학과에서 일괄 판독할 뿐, 두통의 원인을 감별하거나 치료 계획을 세우지는 않음.
  • 검진 후 찍은 영상(CD 복사 비용 약 2만 원)을 가져가서 신경과 등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함.

2. 건강검진 장소 선택

검진센터 유형

  1. 공장형 검진센터(KMI 등)
    • 비용이 저렴하고 빠름.
    • 대사증후군 정도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적합.
    • 동일한 곳에서 지속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함.
  2. 2차병원 및 대학병원
    • 진료 연계성이 좋고, 고난도 검사(조영제 CT, 운동부하 검사 등) 가능.
    • 70대 이상 고령자는 병원급에서 검진 권장.
    • MRI 장비는 병원급이 더 성능이 좋음(3T vs. 1.5T).

3. 선택해야 할 검진 항목

3-1. 대장 내시경

  • 용종 제거 후 양성이면 3~5년 간격으로 진행.
  • 식사 조절 필수(깨, 김, 잡곡 등 주의).

3-2. CT 검사

  • 폐 CT: 흡연자 필수.
  • 요추/경추 CT: 허리/목 불편한 경우 진료 전에 촬영 권장(CD 복사 필수).
  • 뇌 CT: 두통 진료 예정이면 유용.
  • 관상동맥 석회화 CT: 심혈관 질환 위험군(비만, 흡연, 고지혈증, 당뇨, 고혈압)에게 추천.

3-3. 초음파 검사

  • 갑상선 초음파: 필수.
  • 경동맥 초음파: 뇌혈관 건강 평가에 유용.
  • 유방 초음파: 35세 이상은 맘모그래피와 함께 진행 권장.
  • 전립선 초음파: 증상 없는 경우 필요 없음.
  • 자궁(질) 초음파: 정확도를 위해 산부인과 진료 시 시행 권장.

3-4. MRI/MRA 검사

  • 뇌 MRI & MRA: 뇌혈관 질환 예방 차원에서 10년 주기로 권장.
  • 한 가지만 선택해야 한다면 MRA(뇌혈관 검사) 우선.

3-5. 기타 검사

  • 간섬유화검사: 간염 보균자, 음주자, 간수치 높은 경우 추천.
  • 골밀도 검사: 40대 이후 권장.
  • PET 검사: 암이 있는 환자의 전이 평가용으로, 건강한 사람에게는 비효율적.
  • 자궁경부암 검사: 모든 여성에게 추천, 특히 HPV 검사와 함께 진행하면 좋음.
  • 위내시경: 40세 이후 정기적으로 시행 권장.
  • 종합 혈액검사: 혈당, 콜레스테롤, 간수치, 신장 기능, 빈혈 여부 등 종합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.
  • 비타민 D 검사: 현대인에게 결핍이 흔하므로 필요 시 추가.
  • 호모시스테인 검사: 심혈관 질환 및 치매 예방 차원에서 필요할 수 있음.

4. 건강검진 후 주의사항

  • 검사 결과를 반드시 확인하고, 이상 소견이 있다면 전문의 진료를 받을 것.
  • 건강검진에서 정상이어도 증상이 지속되면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함.
  • 결과지 해석이 어려운 경우 검진센터나 해당 과 전문의에게 문의.